공수처의 통신 자료 조회 논란을 두고 여야 공방이 격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더불어민주당과 이재명 대선 후보는 적법한 수사라며 사찰이라고 할 수 없다는 입장인데요. <br /> <br />[이재명 /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(어제) : 통신 자료 조회는 수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기초 자료라서 공수처도 한 것으로 보이는데 글쎄 그거를 법령에 의한 행위를 사찰이라고 할 수는 없을 것 같고요.] <br /> <br />다만 이 후보는 공수처의 통신 조회가 야당만을 겨냥한 것이라면 책임져야 할 일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이 후보도 성남시장 재직 시절인 지난 2016년 자신의 SNS를 통해 검찰과 경찰이 본인과 측근들의 통신 자료를 조회한 사실을 공개했는데요. <br /> <br />그러면서 "국가기관의 전방위적인 사찰이 이어지고 불법 수단조차도 거리낌 없이 동원된다"고 주장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한편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는 이번 논란에 대해 격앙된 표현까지 동원하며 '선거 개입'이라고 규정했습니다. <br /> <br />[윤석열 / 국민의힘 대선 후보 (어제) : 저, 제 처, 제 처 친구들, 심지어 제 누이동생까지 통신 사찰했습니다. 이거 미친 사람들 아닙니까? 도대체 지금이 어느 땐데 이게 뭐 40년 전 60년 전 50년 전 일도 아니고 지금이 어떤 때 이런 짓거리를 하고 백주 대낮에 거리를 활보합니까.] <br /> <br />하지만 윤 후보 역시 '내로남불'이라는 지적이 제기됐습니다. <br /> <br />윤 후보의 총장 재직 시절 검찰이 282만 건의 통신 조회를 했는데, 공수처만 사찰로 몰아가는 것은 정치 공세라는 것인데요. <br /> <br />특히 지난 2017년 서울중앙지검장이던 윤 후보는 당시 검찰의 통신 자료 조회에 대해 가입자 조회에 불과하다는 취지의 발언을 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[윤석열 / 당시 서울중앙지검장 (지난 2017년 10월) : 통신 조회는 통화 내역이나 실시간 위치 추적하는 통신 조회도 있고요. 이거는 그런 통신 조회가 아니고 어떤 혐의자에 대해서 또는 혐의자성 참고인에 대해서 법원의 영장을 받아서 통화 내역을 조회를 했는데 그 상대방이 수십 명, 수백 명이 나오면 그중의 한 사람으로서 전화번호가 쭉 나오면 이 전화번호의 가입자가 누구인지 가입자 조회를 말하는 겁니다.] <br /> <br />"정치 사찰"이라는 국민의힘과 "검찰이 훨씬 많이 했는데 왜 우리만 문제 삼느냐"는 공수처의 입장도 팽팽합니다. <br /> <br />[권성동 / 국민의힘 의원 (어제) : 민주당에서 일개 헌법재판소 연구관을 그냥 공수처장 차관급인지... (중략)<br /><br />YTN 안귀령 (agr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11231193054283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